전체 글 (72) 썸네일형 리스트형 [알고리즘] 이진 탐색 이진탐색이란? 정렬되어 있는 리스트에서 탐색 범위를 절반씩 좁혀가며 데이터를 탐색하는 방법이다. 쉽게 말해 up&down 게임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시작점, 중간점, 끝점을 이용하여 탐색 범위를 설정하는데 탐색할 숫자가 중간점보다 크다면, 중간점보다 작은 수들은 배척시킴으로써 탐색 범위를 줄여나간다. 예제 찾고자 하는 수가 14일 때 - 중간점이 2개일 경우 둘 중 아무거나 해도 상관 없다. 1. 찾고자 하는 수와 중간점을 비교한다. 2. 찾고자 하는 수(14)가 중간점보다 작다면 중간점 아래를, 높다면 중간점 위의 숫자들을 제거해준다. 3. 찾고자 하는 수(14)가 중간점보다 크기 때문에 중간점보다 작은 수들을 제외하면 아래와 같이 남게 된다. 과정 반복 중간점이 찾고자 하는 숫자와 같다면 종료한.. [Kotlin] 문자열 String 해당 포스팅에서는 문자열을 좀 더 세부적으로 알아본다. 문자열에는 다양한 메서드들이 있다. 그 중 자주 쓰이는 메서드들을 알아보도록 하며, 그 외의 메서드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Kotlin 공식 문서에서 참조 바랍니다. https://kotlinlang.org/api/latest/jvm/stdlib/kotlin/-string/ init var string = "초기화" 문자열 사이에 변수 값 1. $변수 2. ${변수} 1번으로 사용하실 경우, 다음 문자열과 띄어쓰기로 구분해야 한다. val data = "20" val string = "저는 ${data}살 입니다." println(string) println("저는 $data살 입니다.") //에러 : 변수명을 data살로 인식하기에 띄어쓰기를 해주어.. [Kotlin] 코틀린 기초 문법 1. val 과 var 및 자료형 // 변하지 않는 값 val a = 0 // 변하는 값 var b = 0 a = 10 오류 발생 b = 10 Kotlin에서는 Java와 마찬가지로 자료형을 선언해 주어야 한다. 형태는 다음과 같다. val a : 자료형 = 값 값을 선언해 주었다면 자료형은 생략해도 상관없다. val a : Int = 0 val b = 0 var string : String = "test" var string = "test 2. 입·출력 및 String템플릿 입력은 readLine(), 출력은 print(), println() 메서드를 사용한다. var name = readLine() print("안녕? 나는 $name 이야!") // 줄 바꿈 x println("안녕? 나는 $name.. 이전 1 ··· 19 20 21 22 23 24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