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1) 썸네일형 리스트형 Git 내부 동작 분석 Github에서 레포지토리를 새로 만들면 다음과 같은 가이드가 나온다. 지금부터 init부터 branch까지 명령어에 따라 내부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1. git initLocal에 레포지토리를 연결 할 폴더를 하나 만들고 터미널을 통해 git init 명령어를 실행하면 .git 폴더가 생성된다. .git 폴더 내의 폴더 및 파일들은 Git 작업을 위한 각자의 역할들을 수행한다.2. git addgit init을 수행한 폴더에 test/test.txt 파일을 만든 후 git add를 수행하면 두 가지의 작업이 실행된다. 1) Blob 파일 생성objects 폴더 내에 Blob 파일이 생성되는데, add 명령어로 추가한 파일 내용으로 Hash 알고리즘을 돌려 나온 Has.. 이전 1 다음